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.
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,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/지역별 결과/제주도

덤프버전 :

파일:상위 문서 아이콘.svg   상위 문서: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/지역별 결과







1. 제주특별자치도[편집]


{#0275d8 [[파일:제주특별자치도 휘장_White.svg}}}제주특별자치도
정당무소속
당선자원희룡
득표율51.7%
[ 펼치기 · 접기]
상위 5위 후보들의 득표율
정당
후보
더불어민주당
문대림
자유한국당
김방훈
바른미래당
장성철
녹색당
고은영
무소속
원희룡
득표수
(득표율)
40.01%3.26%1.45%3.53%51.72%
제주시39.80%3.57%1.57%3.60%51.45%
서귀포시40.55%2.49%1.16%3.37%52.41%

파일:제주특별자치도 휘장_White.svg제주특별자치도의회 의석 수
더불어민주당자유한국당바른미래당정의당무소속
29석2석2석1석4석
[ 펼치기 · 접기 ]
민주한국바른정의무소속
제주시19석1석--1석
서귀포시6석-1석-3석
비례대표4석1석1석1석-

파일:제주특별자치도 휘장_White.svg2018년 7회 지선 권역별 광역의원 비례대표 득표율
더불어민주당 자유한국당 바른미래당 정의당 민중당노동당 녹색당
제주도54.2%18.1%7.5%11.9%1.6%1.8%4.9%
제주시54.6%18.1%7.6%12%
서귀포시53.5%18.1%7.1%11.6%
동 지역[1]
읍 지역[2]
면 지역[3]
관외투표

원희룡 후보가 인물론에서 앞서, 각종 의혹[4]에 빠진 문대림 후보를 11.71% 포인트 격차로 여유롭게 제치고 연임에 성공하였다.[5]

하지만 제주도의회는 정반대로 제주시에서 자유한국당 도의원 1명, 서귀포시의 바른미래당 도의원 1명, 무소속 4명을 빼고는 지역구에서 전부 더불어민주당이 당선되었다.[6] 비례대표 역시 더불어민주당이 4명을 확보한 반면 자유한국당, 바른미래당, 정의당은 1명밖에 확보하지 못했다. 한편 녹색당은 득표율이 4.9%에 그쳐 의석을 확보하지 못했다.

파일:CC-white.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-12-16 18:27:28에 나무위키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/지역별 결과/제주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.


[1] 일도동, 이도동, 삼도동, 용담동, 건입동, 화북동, 삼양동, 봉개동, 아라동, 오라동, 연동, 노형동, 외도동, 이호동, 도두동, 송산동, 정방동, 중앙동, 천지동, 효돈동, 영천동, 동홍동, 서홍동, 대륜동, 대천동, 중문동, 예래동[2] 한림읍, 애월읍, 구좌읍, 조천읍, 대정읍, 남원읍, 성산읍[3] 한경면, 추자면, 우도면, 안덕면, 표선면[4] 1) 도의원시절 자신의 지역구였던 송악산 부동산 투기 의혹, 2) 주식회사 '유리의성' 이중급여 및 재산신고 누락 의혹, 3) 법학석사 논문 표절 의혹, 4) 부동산개발회사 부회장 이력과 인허가 관련 로비스트 의혹, 5) 더불어민주당 도지사후보 경선과정 중 당원명부 유출 의혹, 6) 우근민 전 제주도지사와의 관계, 7) 제주도의회 환경위원장 당시 도내 골프장으로부터 명예회원 위촉 논란, 8) 우근민 도정 시절 도의회 의장으로서 중국자본 투자유치 활동 등[5] 심지어 문대림 후보는 나무위키의 잘못된 서술을 바탕으로 정치공세를 펼쳤다가 추가적인 역풍을 맞기까지 했다. 나무위키 꺼라[6] 원래부터 도의회는 민주당계가 강세이긴 했다